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21일 총파업을 앞두고 광주시교육청과 전남교육청이 학습권 침해와 교육서비스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 대응체계에 들어갔다.
두 교육청은 파업에 따른 학생 안전, 급식·돌봄·특수교육 등 필수 교육서비스 공백을 최소화하는 데 초점을 맞춰 대응 매뉴얼을 일선 학교에 전달하고 상황실 운영에 들어갔다.
광주시교육청은 부교육감을 본부장으로 한 비상대응본부를 꾸리고 총파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학생·학부모 불편을 최소화하고 학교현장의 업무 공백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
정상 급식이 어려운 학교에는 대체 급식·간편식·도시락 지참을 허용하고 돌봄교실은 대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장애 학생의 학습권 보호를 위해 특수학교 통학버스 승하차 지원, 유아교육 방과후과정 탄력 운영 등도 추진한다.
전남교육청은 교육지원청에 파업대책 상황실을 설치하고 긴급 대응팀을 가동한다.
파업 참여 인원 규모에 맞춰 단축수업, 대체 급식(빵·우유·간편식 등)을 실시하고 불가피한 경우 도시락 지참을 학부모에게 사전 안내한다.
초등돌봄교실은 내부 인력을 활용해 기능을 유지하고 특수교육은 학교별 대책 수립과 단축수업 등을 통해 학생과 학부모의 불편을 최소화한다.
광주·전남교육청은 학생 안전과 학습권 보호를 최우선으로 두고 교섭에 성실히 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영경 기자
tlsghk7648@naver.com
다른 기사 보기